Surprise Me!

[현장연결] 중앙임상위원회, 코로나19 환자 치료 현황 브리핑

2020-02-20 12 Dailymotion

[현장연결] 중앙임상위원회, 코로나19 환자 치료 현황 브리핑<br /><br />중앙임상위원회가 코로나19 환자의 치료 현황을 설명합니다.<br /><br />현장 연결하겠습니다.<br /><br />[방지환 /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]<br /><br />얘기를 들으셨던 것처럼 저희 임상TF가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로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임상TF의 역할을 보면 중국 밖 환자들의 임상적 상황 정리가 상당히 중요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단기간 내에 너무 많은 환자가 생겼기 때문에 제대로 치료를 못 받은 환자도 많고 또 환자들의 상황을 제대로 정리할 여유도 없었을 겁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아직까지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우리나라에서 좀 더 객관적인 임상적인 정보가 나올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임상적 상황을 정리해서 국내 감염병 대응 기관에 기초자료를 제공했고, 그리고 저희 임상TF가 아직까지는 국내에서도 생산병이기 때문에 임상사들이 서로 치료 경험을 나누고 객관적인 결정을 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치료 원칙 합의안도 도출해서 저번 주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퇴원 환자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 퇴원여부도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제 앞으로 몇 가지 생각할 게 있는데 코로나19가 지역사회로 침투됐기 때문에 이제 전국적으로 좀 더 체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 필요가 있고 또 이제 이 병이 일상화된다면 새로운 치료제라든가 진단시약 같은 임상적인 요구도 높아질 겁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제 개인적인 견해인데 코로나19가 올해 말에 인플루엔자가 유행하던 시기에 같이 유행을 하면 임상적으로 구분이 안 되기 때문에 대혼란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우려도 듭니다.<br /><br />저희가 이제 국내 코로나19 환자, 초기에 입원했던 28명의 자료를 분석해 봤습니다.<br /><br />국적은 한국이 많았고 남녀 비율은 15:13이었고 연령은 43세가 평균이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우한에서 감염된 사례가 많고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도 10 케이스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최초 증상 발현일부터 격리일까지 시간은 평균 4.5일 정도였습니다.<br /><br />28명 중에 19명은 HIV치료제 칼레트라를 투여했고 9명은 비교적 증상이 경미해서 대증치료만 하고 두고봤습니다.<br /><br />2월 17일 기준으로 치료 결과를 보면 10명이 호전돼서 퇴원했고 16명이 산소 투여 필요 없이 안정적으로 입원해서 관찰 중이고 1명이 콧줄로 산소를 투여하면서 보고 있고 1명이 마스크로 산소를 투여하면서 입원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희가 이제 2주 전에 브리핑을 하면서 이 병이 아무래도 초기에 상기도에서 증식하는 걸로 보이고 그렇기 때문에 초기부터 전파력이 높고 그래서 세대기가 짧고 빠르게 전파될 우려가 높다 이런 이야기를 했는데 이게 실증적인 자료로 증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이게 증상 발현일이고 증상 발현일이 상기도에서 바이러스 양을 보면 증상 초기에 상기도에서 바이러스가 많이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증상 초기부터 상기도에서 바이러스가 많이 냐오기 때문에 기침을 하거나 침을 통해서 남한테 쉽게 전파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메르스랑 비교를 해보면 메르스는 이쪽이 중증환자고 이쪽이 상대적으로 경증 환자인데 초기에는 바이러스가 그렇게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보통 이제 2주째로 접어들면서 바이러스가 많이 나오고 감염력도 높아지는데 코로나19 같은 경우 초기에 바이러스가 많이 나와서 초기부터 전파력이 높다, 이게 우려 사항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증상을 보면 우리가 폐렴이라고 하면 흔히 폐렴 하면 나타나는 증상이 열이 나고 기침, 가래가 있고 숨차고 그런 증상이 가장 흔한 증상인데 보시면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이라고 하는 기침, 가래가 4분의 1 정도밖에 없고 숨이 차는 경우도 한 3.6% 정도밖에 없어서 증상만으로는 이게 폐렴인지 아닌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또 한 가지 보면 이 병이 초기에는 이쪽이 비교적 중증환자고 이쪽이 비교적 경증 환자인데 초기 2일에서 10일 정도 사이까지는 이쪽이 1, 2, 3, 4, 5, 6, 7, 8 이렇게 스케일을 해 놨는데 1은 환자가 활동에 전혀 지장이 없을 정도로 상대적으로 경증의 증상만 있는 경우고 8번은 사망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1이면 경증이고 8로 갈수록 중증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되는데 증상 발현 초기에는 한 2~10일 정도까지는 대개는 증상이 경미합니다.<br /><br />그냥 그래서 흔한 감기증상, 몸살증상 이 정도로 오인하기가 쉽고 그 이후 시간이 지나면 본격적으로 증상이 심해지는 임상 경과를 밟았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이렇게 증상이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하다가 갑자기 발현해서 폐렴이 심해지는데 이게 CT 소견이고 CT에서 보면 폐는 까맣게 보이는 게 정상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환자 같은 경우에는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했는데 다음 날 CT를 찍어보니까 이렇게 폐 하얀 부분이 늘어나서 폐렴이 심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이제 폐렴 하면 가장 흔히 하는 진단 방법이 엑스레이를 찍어서 보는 방법인데 가슴 엑스레이 점수를 보면 0이면 거의 정상으로 보이는 거고 24로 보이면 폐가 하얗게 될 정도로 가슴 엑스레이가 이상한 건데 보시다시피 초기에는 가슴 엑스레이에 정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초기에 특히 증상도 애매한 경우가 많고 가슴 엑스레이도 정상인 경우가 많아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이상입니다.<br /><br />[오명돈 /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]<br /><br />중앙임상위원회에서 현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리고 저희 위원회가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 되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발표에 앞서서 그동안 28명 환자를 봐주신 의료진들에게 특별히 감사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.<br /><br />이 사진은 1번 환자, 인천의료원 김진영 선생님하고 같이 한 바이러스 분리 연구 결과입니다.<br /><br />환자가 입원하면서부터 인천의료원과 함께 또 김진영 선생님과 함께 환자 진료를 상의하면서 한편으로는 바이러스 분리나 학술적인 자료 수립을 시작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